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재·보궐선거 투표 안내

반응형

2025년 재·보궐선거 투표 안내 🗳️

📌 선거 개요

2025년 4월 2일(수) 대한민국에서 재·보궐선거가 실시됩니다. 선거는 국민의 소중한 권리이자 의무이며, 올바른 대표자를 선출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번 선거에 참여하기 위한 절차와 유의사항을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 선거권자 및 투표 준비물

✔️ 선거권자

  • 선거일 기준 만 18세 이상인 대한민국 국민
  • 2007년 4월 3일 이전 출생자 (2007년 4월 3일 포함)
  • 외국인의 경우, 영주 체류자격 취득 후 3년 경과 및 해당 지방자치단체 외국인등록대장에 등재된 경우

🏷️ 투표 시 준비물

투표소에서 본인 확인을 위해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해야 합니다.

  • 주민등록증
  • 운전면허증
  • 여권
  • 국가보훈등록증
  • 장애인복지카드
  • 청소년증 등

🗳️ 사전투표 일정 및 장소

📅 사전투표일

  • 2025년 3월 28일(금) ~ 3월 29일(토)
  • 투표시간: 오전 6시 ~ 오후 6시

📍 사전투표소

  • 재·보궐선거가 실시되는 읍·면·동마다 설치된 사전투표소에서 투표 가능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누리집에서 사전투표소 위치 확인 가능

🗳️ 선거일 투표 안내

📅 투표일 및 시간

  • 2025년 4월 2일(수)
  • 오전 6시 ~ 오후 8시까지 진행

📍 투표소 위치

  • 주민등록지 기준 지정된 투표소에서 투표 가능
  • 투표소 위치는 각 가정에 발송되는 투표안내문 또는 중앙선관위 누리집에서 확인

🔄 재·보궐선거지역 내 전입신고 관련 투표소 안내

  • 3월 11일까지 전입 신고한 경우: 새로운 주소지의 투표소에서 투표 가능
  • 3월 12일부터 전입 신고한 경우: 전입한 주소지에서 투표 불가
    • 단, 3월 11일 기준 주소지가 재·보궐선거지역 내에 있는 경우 해당 주소지의 투표소에서 투표 가능

📜 선거인명부 열람 및 이의신청

📆 선거인명부 열람

  • 기간: 2025년 3월 16일(일) ~ 3월 18일(화)
  • 방법: 해당 구·시·군의 공고된 장소 (읍·면사무소 및 동주민센터 등) 방문 또는 온라인 열람 가능

❗ 선거인명부 이의신청

  • 기간: 2025년 3월 16일(일) ~ 3월 18일(화) (선거인명부 열람 기간과 동일)
  • 대상: 선거권자 누구나 신청 가능
  • 신청 요건: 선거인명부에 누락·오기가 있거나 자격이 없는 선거인이 등재된 경우
  • 신청 방법: 해당 구·시·군의 장에게 구술 또는 서면 신청 가능

🏛️ 선거인명부 등재 신청 및 확정

  • 2025년 3월 19일(수) ~ 3월 20일(목): 누락자 선거인명부 등재 신청 가능
  • 2025년 3월 21일(금): 선거인명부 확정

⚠️ 선거법 안내 및 신고

  • 선거법 위반 행위를 발견할 경우 국번 없이 ☎1390으로 신고 가능

❓ Q&A (자주 묻는 질문)

1. 신분증이 없으면 투표할 수 없나요?

네, 신분증 없이 투표할 수 없습니다. 반드시 관공서 또는 공공기관이 발급한 사진이 첨부된 신분증을 지참하세요.

2. 사전투표와 본투표 중 어디에서든 투표할 수 있나요?

사전투표는 해당 선거구 내 사전투표소 어디서나 가능하지만, 선거일(4월 2일) 투표는 지정된 투표소에서만 가능합니다.

3. 선거 당일 투표소를 모르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투표소 위치는 각 가정에 발송된 투표안내문 또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전입신고를 했는데 투표가 가능한가요?

3월 11일까지 전입신고한 경우 새로운 주소지에서 투표할 수 있습니다. 3월 12일부터 전입신고한 경우 이전 주소지에서 투표해야 합니다.

5. 선거인명부에 내 이름이 없으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3월 19일~20일에 누락자 등재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투표는 민주주의의 핵심입니다! ✨ 여러분의 소중한 한 표가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합니다. 잊지 말고 꼭 투표하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