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생도 가능한 PCB 설계·제작 입문 가이드
✨ 서론: 브레드보드 그만! 이제는 PCB로 완성도를 높이자
대학생 졸작, 팀 프로젝트, 스마트팜 DIY 등에서 브레드보드로 납땜하다 오류나면… 다들 공감하시죠? 😢
**‘시연의 법칙’**처럼 잘 되던 회로가 시연 날 갑자기 안 될 때, 대부분은 배선 문제나 접촉 불량 때문입니다.
이제는 그만!
기초 전자공학 지식만 있으면 누구나 PCB를 설계하고 제작할 수 있는 시대입니다.
이번 콘텐츠에서는 EasyEDA를 활용한 회로 설계부터 PCB 주문·납땜·조립까지 모든 과정을 소개합니다.
초보자도 10분이면 이해하고 따라할 수 있으니, 지금 바로 따라와 보세요!
🔧 본론: EasyEDA부터 PCB 납땜까지, 전 과정 따라하기
1️⃣ EasyEDA 설치 및 회로도 그리기
- EasyEDA는 무료 온라인 회로 설계 툴입니다.
- 공식 사이트에서 Standard 버전을 설치해 사용하세요.
- 회로 구성은 아두이노 마이크로 + 커넥터 구성으로 시작!
- 라이브러리 검색 → 부품 배치 → 와이어/네포트로 연결해 깔끔한 회로도를 완성하세요.
📌 팁: 네포트(NetPort)를 사용하면 회로가 훨씬 깔끔해집니다!
2️⃣ PCB 아트웍과 DXF 기반 아웃라인 그리기
- 회로도가 끝났다면 “Convert Schematic to PCB” 클릭!
- 보라색 사각형이 PCB 외곽선입니다. 이걸 커스터마이징하려면 Fusion 360에서 DXF 파일을 불러오세요.
- 아두이노 및 커넥터 부품을 효율적으로 회전(R), 정렬, 간격 조정하여 배치합니다.
📌 팁: 레트라인을 기준으로 전류선은 굵게, 신호선은 깔끔하게 배치해야 발열과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요.
3️⃣ JLCPCB에 주문하고 언박싱
- 상단 메뉴에서 “One-click PCB+SMT” 선택 → 자동으로 JLCPCB에 연결됩니다.
- 기본 옵션 그대로 주문해도 5장에 약 $5.8!
- 배송 옵션은 빠른 게 좋다면 DHL 추천 (3일 만에 도착 ✅)
📦 언박싱 결과: 초보자가 만든 설계치고 패드, 라벨, 마감 모두 우수!
4️⃣ 납땜과 조립까지 한 큐에!
- 커넥터 → 핀헤더 → 터미널 블록 순서로 필수 부품을 납땜합니다.
- PCB를 3D 출력 파트에 결합하고, 커넥터 케이블을 제작해 연결하세요.
- 커넥터는 564 시리즈 사용, AWG 26 전선 권장!
📌 핵심: 3D 모델에서 DXF 추출한 덕에 부품 조립이 딱 맞습니다!
🧠 결론: 여러분의 프로젝트, 이제는 한 단계 더 성장할 때!
브레드보드도 좋지만, PCB를 직접 설계하고 제작하면 완성도와 신뢰성이 크게 높아집니다.
졸업작품, 공모전, DIY 프로젝트 모두 와우할 만한 퀄리티로 업그레이드되죠. 💪
지금까지의 과정을 한 번 정리해보고, 다음 편에서는 이 보드에 코딩까지 연동해 스마트팜 모듈 완성에 도전해 보세요!
❓ Q&A 자주 묻는 질문
Q1. PCB를 꼭 제작해야 하나요?
A1. 꼭 그렇진 않지만, 프로젝트 완성도와 안정성을 높이려면 권장됩니다.
Q2. EasyEDA는 무료인가요?
A2. 네, 개인 사용자는 무료로 설계부터 제작용 Gerber 파일까지 모두 가능해요.
Q3. 납땜이 어려운데 대안이 있나요?
A3. JLCPCB의 SMT 서비스 활용 시 부품 실장까지 자동으로 해줍니다.
Q4. 배송비는 얼마나 들까요?
A4. 일반 우편은 $1.5~DHL은 $15.5 수준으로, 프로젝트 일정에 따라 선택하세요.
Q5. 아두이노 외 다른 MCU도 사용 가능한가요?
A5. 당연하죠! STM32, ESP32 등 EasyEDA 라이브러리에 등록된 대부분 사용 가능합니다.